Exhibition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Photographic Images and Matter: Japanese Prints of the 1970s
Period/ 2016.02.02(Tue) ~ 2016.04.03(Sun)
Mitsuo Kano, Tatsuo Kawaguchi, Kosuke Kimura, Hideki Kimura, Tetsuya Noda, Jiro Takamatsu, Akira Matsumoto, Satoshi Saito, Koji Enokura, Katsuro Yoshida, Shoichi Ida, Lee Ufan, Arinori Ichihara, Sakumi Hagiwara

Photographic Images and Matter: Japanese Prints of the 1970s focuses on print expressions from the 1970s as seen in the work of 14 artists who helped develop a print movement in the world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While on the one hand the period is notable as the golden age of works in which photographic images were converted into prints, the 1970s also saw the rise of a new print movement in which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allowing materials(matter) used in print-making, such as print blocks, paper, and ink, to speak for themselves. These subjective expressions, based on photographic images and matter, greatly expanded the print medium while also helping to shape trends in contemporary art as a whole.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Age of Photographic Images.” which focuses on the use of photographic images in the print medium, and “Images of Autonomous Matter,” which focuses on works that were shaped by the intentions of matter. In addition to enjoying the works in these two categories, we hope that the viewer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trends of the 1970s which were triggered by the print medium.


주요작품
노다 테츠야, 일기;1968년8월22일, 1968, 실크스크린, 목판, 82×82cm
野田哲也 노다 테츠야 NODA Tetsuya
Tetsuya Noda, Diary; Aug. 22nd ’68, 1968, silkscreen, woodblock, 82×82cm


노다 테츠야는 자신의 일상적인 삶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가족이나 지인, 아이들의 성장과정, 그리고 주변 풍경 등을 포착하여 거의 40년 가까이 평범한 일상을 기록하는 <일기>시리즈를 제작하였습니다. 1968년부터 목판화와 실크스크린을 병용하여 시작한 이 시리즈는 그 해 개최된 제 6회 도쿄국제판화비엔날레에서 국제대상을 수상했으며 1970년대에 실크스크린 판화가 더 활발히 등장하는 데에 의미 있는 족적을 남겼습니다. 이후 그는 세계 각국의 비엔날레에서 수상했으며 꾸준히 촬영한 일상에 관한 사진을 사용한 일기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일반적인 가족의 초상화와 달리 각 사람의 머리, 심지어 화분 위에 이름과 생년월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조형적인 터치나 내러티브를 드러내기보다 각각의 존재를 동등한 사물로서 나열시키며 사진영상을 화면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그는 화려하고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담담한 일상의 모습 자체가 미술이 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Noda began his career in 1968 with Diary, a series which combined woodblock and silkscreen printing, and won the International Grand Prize at the 6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later the same year. He subsequently won awards at many other biennales all over the world. The Diary works made consistent use of photographs from everyday life. Noda also worked as a professor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기무라 코스케, 현재위치− 존재A, 1971, 실크스크린, 석판화, 73×104cm
木村光佑 기무라 코스케 KIMURA Kosuke
Kosuke Kimura, Present Situation – Existence- A, 1971, silkscreen, lithograph, 73×104cm


대학에서 일본화를 전공한 뒤 광고대리점에 근무한 기무라 코스케는 1960년대 말부터 잡지 등에 게재된 다양한 종류의 사진영상을 모아 앗상블라주(여러 사물들을 한데 모아 표현하는 기법) 판화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그는 1970년대에 국내외의 비엔날레에 출품하여 다수 수상했고 개인전을 통해 활발히 활동했으며 조각 작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화면 안에 반복된 이미지와 단편 시각정보들의 조합은 영상과 정보의 홍수와도 같은 현대사회의 풍경을 보여줍니다.

After studying Japanese-style painting in university, Kimura began working at an advertising agency. At the end of the ’60s, he began making assemblage-style works with a variety of photographic images from magazines and other sources. In the 1970s, he received numerous awards at biennales both in Japan and abroad, and held solo exhibitions of his work. Kimura also makes sculpture.

마츠모토 아키라, 풍경으로부터2-1, 1974, 실크스크린, 81×56cm
松本旻 마츠모토 아키라 MATSUMOTO Akira
Akira Matsumoto, Landscape 2-1, 1974, silkscreen, 81×56cm


1950년대에 마츠모토 아키라는 분업형태로 제작되는 우키요에 판화의 스리시(摺師, 목판의 인쇄를 담당하는 직인)로 활동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자신만의 판화 작품을 제작하면서 판화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신문 지면에 판화로 표현하는 팝아트풍의 작품을 제작하였던 그는 1970년대에 풍경이나 사진을 망점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해나갔으며, 국내외 비엔날레에 수상한 바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인쇄된, 혹은 브라운 관을 통해 보는 영상의 망점과 구조를 연상시키며 영상의 시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In the 1950s, Matsumoto began working as an ukiyo-e printer, and during this period, he also started to make his own works, which eventually developed into a career as a print artist. In the late ’60s, he produced Pop-like works, depicting pages from the newspaper in prints, and in the ’70s, he converted landscapes and photographs into series of dots. Matsumoto has received countless prizes at biennales in Japan and abroad.

사이토사토시, Untitle A, 1976, 실크스크린, 59x70cm
斉藤智 사이토 사토시 SAITO Satoshi
Satoshi Saito, Untitle A, 1976, silkscreen, 59×70cm


1960년대 후반에 플라스틱 조각을 제작하였던 그는 1970년대에 본다는 것에 대한 구조를 탐구하며 사진을 사용한 작품 활동을 전개해 나갔습니다. 사이토 사토시가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사진을 전사(轉寫)한 판화에 담긴 사진영상은 판에 의해 찍힌 상 속의 영상으로서 그 둘은 서로 미묘하게 차이를 드러냅니다. 사진영상을 이중으로 담은 그의 작품은 이미지가 넘쳐나는 사회에서 본다는 것의 의미를 새삼 돌이켜보게 합니다.

In the late ’60s, Saito made plastic sculptures, and then in the ’70s, he began producing works using photographs that dealt with the theme of exploring the structure of sight. In 1976, he was awarded the International Grand Prize at the 10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He has also received various prizes at foreign print biennales. Saito’s work frequently appears in exhibitions that examine the use of photography in art and contemporary prints.

장영원, 테세락의 정원 희미한 교차, 2015, 15분 30초, 3채널 영상
기무라 히데키, Delta 8-18, 1976, 실크스크린, 70×100cm
木村秀樹 기무라 히데키 KIMURA Hideki
Hideki Kimura, Delta 8-18, 1976, silkscreen, 70×100cm


1974년 제 9회 도쿄국제판화 비엔날레에서 연필을 쥔 손의 영상을 모눈종이에 인쇄한 실크스크린 판화로 수상했습니다. 그 후로도 기무라 히데키는 2차원의 평면 위에 표현된 상과 실제 사물 사이의 모호한 관계를 탐구하며 다양한 실험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영상을 반영한 판화로 시각에 대한 실험을 펼친 그는 나아가, 1980년대 말에 ‘맥시 그라피카(MAXI GRAPHICA)’라는 그룹을 조직하여 대형 판화의 가능성을 추구해갔습니다.

In 1974, Kimura won a prize at the 9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for a silkscreen work depicting a photographic image of a hand holding a pencil that was printed on graph paper. He went on to explore the ambiguity between the image of things that are expressed in two dimensions and actual things, producing a wide range of experimental works. In the late ’80s, Kimura formed a group called Maxi Graphica and explored the potential of large-scale prints.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하기와라 사쿠미, One, 1976, 실크스크린, 각110×79cm-1
萩原朔美 하기와라 사쿠미 HAGIWARA Sakumi
Sakumi Hagiwara, One, 1976, silkscreen, 110×79(each)cm


1960년대에 언더그라운드 연극배우로서 활동한 후 연출가, 영상작가로서 활동하였던 하기와라 사쿠미는 1970년대에 실크스크린 판화를 제작하여 1976년 제 10회 도쿄국제판화 비엔날레에서 수상하였습니다. 영상의 여러 장면이 한 화면에 순차적으로 담긴 판화는 비디오 영상의 주요 특성인 시간성을 작품에 담고 있습니다.

Hagiwara began his career in the ’60s as an actor in underground theatre, and later worked as a stage director and a filmmaker. In the ’70s, he began making silkscreen prints, was awarded a prize at the 10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in 1976, and showed his works in international print biennales abroad. Hagiwara’s works from this period are often included in exhibitions that focus on trends in contemporary prints.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다카마츠 지로, 원근법의 벤치, 1967, 실크스크린, 59×79cm
高松次郎 다카마츠 지로 TAKAMATSU Jiro
Jiro Takamatsu, Perspective Bench, 1967, silkscreen, 59×79cm


다카마츠 지로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초에 걸쳐 아방가르드 예술의 흐름 속에서 작품을 제작하고 해프닝과 퍼포먼스를 행하였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외부세계에 대한 우리의 시지각에 의문을 제기하는 작품을 제작한 다카마츠 지로는 물체에 주체성을 부여하는 일본현대미술의 한 흐름인 ‘모노하(物派)’의 등장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60년대 후반 이후에도 판화를 제작하였던 그는 70년대 초 판화의 개념을 묻는 작품을 제작하여 주목을 받은 바가 있습니다. 그는 원근법에 익숙한 우리의 타성적인 물체 인식 방법에 대하여 판화의 이미지요소로써 일깨우거나, 문자를 순열조합하여 복사기로 제작한 작품 등으로 판화의 새로운 개념을 실험하였습니다.

In the ’50s and early ’60s, Takamatsu created various avant-garde works, including Happenings and performances. In the late ’60s, he began producing work that questioned our visual perception of the outside world, which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Mono-ha movement. Takamatsu also made prints in the late ’60s, and in the early ’70s received attention for works that questioned the print concept.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요시다 카츠로, Work ’10’, 1970, 실크스크린, 74.5×78cm
吉田克朗 요시다 카츠로 YOSHIDA Katsuro
Katsuro Yoshida, Work ’10’, 1970, silkscreen, 74.5×78cm


1960년대 말 요시다 카츠로는 물체를 조합한 작품을 발표하며 ‘모노하(物派)’의 작가로서 활동했습니다. 1970년에는 사진 영상을 실크스크린 판화로 표현한 작품을 제작한 그는 이후에도 판화 제작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습니다. 사진영상을 판화의 지지체에 찍히는 하나의 요소로서 무덤덤하게 겹쳐 표현한 그의 작품은 당시의 새로운 표현으로써 1970년 제1회 서울국제판화 비엔날레에서 동아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이 외에도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현대미술의 동향을 재검증하는 전시에 그의 작품은 종종 소개됩니다.

In the late ’60s, Yoshida became active as a Mono-ha artist, showing work in which he combined various kinds of matter. In 1970, he used silkscreening to depict photographic images, and subsequently took an active interest in printmaking while also making paintings. Yoshida’s work is frequently shown in exhibitions that reexamine contemporary art trends of the late ’60s and ’70s.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에노쿠라 코지, 하나의 얼룩No.1, 1975, 실크스크린, 77×108cm
榎倉康二 에노쿠라 코지 ENOKURA Koji
Koji Enokura, A Stain No.1, 1975, silkscreen, 77×108cm


에노쿠라 코지는 1960년대 후반부터 신체가 물질에 감응하여 드러나는 긴장관계를 통해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장이나 상태를 보여주는 작품을 해 왔습니다. 그의 판화에서는 이미지의 번짐으로부터 잉크, 판, 종이 등 판화를 이루는 물질의 존재와 관계를 확인하게 됩니다. 1971년 파리 청년비엔날레에서 수상했던 그는 70년대 초반부터 판화 작품을 개시하여 1979년 제11회 도쿄국제판화 비엔날레에서도 수상을 했습니다.

In the late ’60s, Enokura began showing works made up of places and situations in which a sense of tension was created by a physical (body) response to matter. These works were intended to affirm the existence of the self. He won a prize at the Paris Youth Biennale in 1971. Enokura began making prints in the ’70s and was awarded a prize at the 11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in 1979.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이다 쇼이치, Surface is the Between – Between Vertical and Horizon – Stone, Paper and Stone, 1976, 석판화, 95×62cm
井田照一 이다 쇼이치 IDA Shoichi
Shoichi Ida, Surface is the Between – Between Vertical and Horizon – Stone, Paper and Stone, 1976, lithograph, 95×62cm


이다 쇼이치는 팝아트적인 판화를 제작하다가 1970년대 중반부터 ‘표면은 사이이다Surface is the Between’ 라고 하는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제목은 그 자체로 판화의 제작과정에 포함되는 물질 간 관계를 제시합니다. 그는 어느 날 자신의 작업실에서 우연히 종이 위에 남겨진 누름돌의 흔적을 발견한 이후 사물과 사물이 우연히 만나는 접점과 판화의 과정에 대한 개념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판화를 중심으로 이를 표현하던 그는 회화, 공예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제작해나갔습니다. 끝없는 실험으로 그는 1976년 제10회 도쿄국제판화 비엔날레와 해외의 비엔날레에서 수상을 거듭했습니다.

After a period in which he made Pop-like prints, Ida developed the concept of “surface is the between” in the mid-’70s, focusing primarily on prints but also working in a variety of other formats including oil painting, paper, ceramics, and bronze. Ida won a prize at the 10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in 1976 and other awards at various foreign biennales.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가와쿠치 타츠오, 관계-질, 1979, 금속・수제종이, 64.5×99cm
河口龍夫 가와쿠치 타츠오 KAWAGUCHI Tatsuo
Tatsuo Kawaguchi, Relation – Quality, 1979, metal, hand-made paper, 64.5×99cm


가와구치 타츠오는 1960년대부터 물질과 인간은 등가라고 하는 사고를 바탕으로 하여 물질과 인간, 다른 물질 간의 상호 관계를 테마로 작품을 제작하였습니다. 그는 1970년대에 철이나 동의 파편에 있는 녹을 헝겊에 전사(轉寫)하거나, 녹슨 못이나 꺾쇠를 넣은 종이를 뜨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하였습니다. 이처럼 판화의 개념을 확대한 실험으로 그는 1979년 제11회 도쿄국제판화 비엔날레에서 수상한 바 있습니다.

Based on the notion that matter and people were equal, in the ’60s, Kawaguchi began creating work that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tter and people, and between various kinds of matter. In the ’70s, he imprinted rust from fragments of iron and copper on fabric and made paper that incorporated rusty nails and clamps to expand the concept of prints. He was awarded a prize at the 11th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in 1979.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이우환, 기항지(기착지) 1, 1991, 석판화, 89×79cm
李禹煥 이우환 LEE U-Fan
Lee Ufan, Port of Call 1, 1991, lithograph, 89×79cm


이우환은 195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중퇴한 후 도일하여 니혼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였습니다. 1960년대 초반부터 미술작품을 제작한 이래로 1960년대 후반에는 서로 다른 사물을 조합하여 그 존재와 관계를 드러내며 주체적 존재로서의 물질을 다룬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동시에 그는 논문이나 비평을 기고하면서 이후 ‘모노하(物派)’라 불리는 동향을 이론화하였으며, 자율적인 주체로서 물체의 존재와 관계맺음을 사유하는 작품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는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판화를 제작하여왔습니다. 판이라는 물체가 빚어내는 화면은 그의 이론을 담기에 효과적인 매체였을 것입니다. 또한 화면에서 여백과 점이 조응하는 관계는 판화에서 종이와 잉크 등 물질적인 요소의 존재와 관계맺음 생각하게 합니다.

In 1956, after leaving the College of Fine Ar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came to Japan and began studying philosophy at Nihon University. At the beginning of the ’60s, he began making art and by the end of the decade, he was creating works with matter as a subject in which he combined various materials. During this period, he also published essays and criticism, and developed theories that would in time come to be referred to as Mono-ha. Lee has been making prints since the ’70s.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가노 미츠오, 솔더드 블루, 1965, 금속 프린트, 75.5×56.5cm
加納光於 가노 미츠오 KANO Mitsuo
Mitsuo Kano, Soldered Blue, 1965, metal print, 75.5×56.5cm


가노 미츠오는 랭보 등의 시에 심취하였고, 1953년에 동판화를 제작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시인이자 미술평론가인 다키구치 슈조(瀧口修造)에게 발굴되어 개인전을 개최하여 미술계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는 음각 기법을 통해 금속판의 질감을 종이 위에 구현하면서 거기에 선명하고 강렬한 색채를 부여함으로써 매우 물질적이면서도 시적인 성격을 가진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1962년 제3회 도쿄국제판화 비엔날레를 비롯한 국내외 전시에서 수상하였던 그는 음각판화나 석판화 외에 유화도 다수 제작하고 있습니다.

While devoting himself to the poetry of Rimbaud and others, Kano began making copperplate prints in 1953. He attained prominence in the art world after holding a solo exhibition that was championed by the poet and art critic Shuzo Takiguchi. He won a prize at the 3rd International Biennial Exhibition of Prints in Tokyo in 1962 as well as other awards in various Japanese and foreign exhibitions. In addition to making intaglio prints and lithographs, Kano has produced countless oil paintings.


이지영, On the Fringe of the Jungle(정글 앞에서), 2014-2015, 3채널 영상
이치하라 아리노리, KIH, 1980, 금속요판, 73.5×49cm
一原有徳 이치하라 아리노리 ICHIHARA Arinori
Arinori Ichihara, KIH, 1980, metal intaglio, 73.5×49cm


유년기를 홋카이도에서 지낸 이치하라 아리노리는1920년대 후반부터 우정성 직원으로서 근무하는 동안 일본 고유의 단시인 하이쿠(俳句)를 지었습니다. 1950년대 후반에 모노타이프 판화를 제작하면서 판화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한 그는 이어 다양한 금속 판자를 다양한 약품으로 부식시키고 그 요철을 인쇄해내는 방식으로 마티에르(재질감)가 강조된 판화를 보여주었으며, 대형의 모노타이프 판화도 다수 제작하였습니다.

In the late ’20s, Ichihara wrote haiku while working at the Ministr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In the late ’50s, he began making monotype prints and focusing on printmaking. Gradually, he began creating prints using the uneven texture of various metal sheets that were corroded by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Ichihara also produced many large-format monotype prints.


Comments [0]
Leave a comment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
이전 다음 Exhibition